교육과정
학기 | 연번 | 교과목명 | 주당시주/학점 | 유형 |
---|---|---|---|---|
1 | 1 | 한국어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 3 (3) | 한국어교육 영역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
2 | 한국어문법교육론 (Teaching Korean Grammar) | 3 (3) | ||
합계 | 6 (6) | |||
2 | 3 | 한국의현대문화 (Contemporary Korean Culture) | 3 (3) | |
4 | 한국어표현교육론 (Teaching Korean Expression) | 3 (3) | ||
합계 | 6 (6) | |||
3 | 5 | 한국어교육론 (Korean Education Theory) | 3 (3) | |
6 | 한국어표현교육론 (Teaching Korean Expression) | 3 (3) | ||
7 | 한국어발음교육론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 3 (3) | ||
합계 | 9 (9) | |||
4 | 8 | 한국어교수법 (Teaching Methodologies for Korean) | 3 (3) | |
9 |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al Teaching of Korean) | 3 (3) | ||
10 | 사회언어학 (Sociolinguistics) | 3 (3) | ||
11 | 논문연구 (Thesis Research) | 1 (1) | ||
합계 | 10 (10) | |||
1 | 1 | 실용한국어 (Practical Korean) | 4 (2) | 한국어몰입 영역 (Korean Language Immersion Field) |
합계 | 4 (2) | |||
2 | 2 | 문화콘텐츠와한국어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Contents) | 2 (2) | |
3 | 한국어번역A (Korean Translation A) | 2 (2) | ||
합계 | 4 (4) | |||
3 | 4 | 아카데믹한국어 (Academic Korean) | 2 (2) | |
5 | 한국어번역B (Korean Translation B) | 2 (2) | ||
합계 | 4 (4) | |||
4 | 6 | 시사와한국어 (Current Affairs and Korean) | 2 (2) | |
합계 | 2 (2) |
※ 개설과목은 학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교육과정(주간) 시간표 샘플
과목개요
1. 한국어학개론
한국어의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 전 영역에 걸친 이론을 배우고 한국어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한다.2.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의 문법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요소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한국어 구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한다.3. 한국의현대문화
현대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해 개관하고 그 배경을 탐구하여, 한국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4.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 듣기와 읽기 영역에 관한 이론을 익히고 효율적인 한국어 듣기와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5. 한국어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이론에 관해 총괄적으로 논의한다.6.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내용학적 지식을 익히고 이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7.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 음성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실재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8. 한국어교수법
일반 외국어 교수법 전반에 대해서 학습하고, 한국어의 특성에 따른 교육학적 방법론에 관해 연구한다.9. 한국어교육실습
강의와 수업 참관을 통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실 수업을 이해하고 필수적인 교실 운영법을 익히고,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다.10. 사회언어학
언어가 사회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인 사회언어학적 특성을 갖는 한국어 자료를 분석하여 변이 양상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11. 논문연구
학위논문을 작성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절차와 방법을 익힌다.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전문적인 관심사를 석사 논문, 포트폴리오로 완성한다.